
택한 백성, 선한 이웃, 귀한 교회
찬양과 기도와 말씀이 살아있는 우리 교회

예배와 찬양의 수칙
1.예배의 중요성
①성경은 예배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②주님은 예배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십니다.
③하나님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하는 자들을 찾고 계십니다.
2.예배의 의미
①예배는 하나님과의 만남입니다.
②예배는 하나님께 경의를 표하는 것입니다.
③예배는 하나님의 인격을 섬기는 것입니다.
3.예배의 목적
①예배는 하나님을 위한 것입니다.
②예배는 하나님을 기쁘게 하기 위해 드리는 것입니다.
4.하나님의 다스림과 예배
①하나님의 다스림이 있는 곳에는 예배가 있습니다.
②하나님의 백성들은 예배자들입니다.
③예배는 하나님의 임재와 다스림에 대한 피조계의 자연스러운 반응입니다.
* 하나님에 대한 관심이 우리의 삶 속에 늘 있어야 합니다.
5.예배의 원리
①예배는 영과 진리로 해야 합니다.
②예배는 믿음으로 해야 합니다.
6.예배의 과정
①하나님 임재 안으로 들어갈 때는 감사와 찬양을 드려야 합니다.
②하나님 앞에서는 경배해야 합니다.
③하나님께 우리의 모든 것을 드려 하나님께서 우리를 하나님 뜻대로
변화시키도록 해야 합니다.
④하나님을 만난 기쁨을 누리면서 세상에서 하나님을 섬겨 하나님 나라를
확장하기 위한 준비를 해야 합니다.
7.예배의 결과
㉠예배는 우리 안에 하나님의 생명이 넘치게 합니다.
㉡예배는 우리 안에 평안과 기쁨을 넘치게 합니다.
㉢예배는 치유를 낳습니다.
㉣예배는 모든 묶임으로부터 자유케 합니다.
㉤예배는 하나님을 알게 합니다.
㉥하나님과의 사귐을 통해 예배자는 하나님을 닮아 갑니다.
㉦예배는 열매 맺는 삶으로 이끕니다.
㉧예배는 올바른 인간상을, 따라서 올바른 자아상을 갖게 합니다.
㉨예배는 하나님만 경배하고 섬기게 합니다.
㉩예배는 이웃과 세상을 하나님의 마음으로 사랑하게 합니다.
㉪예배는 참다운 가치관을 정립시켜 줍니다.
㉫따라서 예배는 우리의 삶을 참되게, 가치있게, 아름답게 합니다.
I.찬양의 의미
①찬양은 하나님을 자랑하는 것입니다.
②찬양은 하나님의 성품과 하시는 일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합니다.
③찬양은 하나님의 성품과 하시는 일에 대한 놀라움으로 표현됩니다.
2.찬양의 당위성
①찬양은 주님의 명령입니다.
②하나님은 찬양을 받으시기에 합당한 분이십니다.
③하나님은 찬양 속에 있기를 기뻐하십니다.
④하나님과의 만남을 위해 찬양해야 합니다.
⑤하나님께서 자유롭게 역사하시도록 찬양해야 합니다.
⑥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은 우리의 삶의 목적입니다.
3.찬양의 방법
①찬양은 우리의 모든 것을 다해 드려야 합니다.
②찬양은 여러 가지로 표현됩니다.
③찬양할 때 자신이나 남에게 신경을 쓰다 보면 자유로이 찬양하지
못하게 됩니다.
④찬양은 공개적인 것입니다.
⑤찬양은 부담스러운 짐이 아니라 기꺼이 누려야 할 특권입니다.
①누가 찬양해야 합니까 ?
②어디서 찬양해야 합니까 ?
③언제 주님을 찬양해야 합니까 ?
④어떤 상황에서도 주님을 찬양할 수 있습니다.
2.찬양의 제사
①모세의 성막과 솔로몬의 성전 사이에 다윗의 장막이 세워진
기간이 있었습니다.
②다윗의 장막은 모세의 성막과 달랐습니다.
③이 찬양의 제사를 주께서 원하십니다.
④찬양에는 조건이 없습니다.
Ⅱ.찬양과 하나님의 다스림
1.할 랄 (halal)
①할랄의 기본 의미는 자랑입니다.
②할랄의 명사형은 테힐라(tehillah)입니다.
* 할랄에 해당하는 신약어는 아이네오(aineo)입니다.
2.찬양과 하나님의 나라
①하나님 나라는 하나님의 다스림과 그 백성들의 예배하는 삶으로
이루어집니다.
②할랄은 하나님 나라의 주인이신 하나님에의 감격적인 반응입니다.
* 할렐루야(hallelujah)는 하나님과 그의 통치에 대한 반응의 절정입니다.
3.찬양의 증거
①찬양을 통해 하나님의 이름이 증거됩니다.
②찬양을 통해 하나님 나라가 확장됩니다.
* 이러한 찬양을 지나치게 감정적이라고 기피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Ⅲ.찬양과 영적 전쟁 (1)
1.야 다 (yadah)
①야다는 고백의 찬양입니다.
②야다는 환난 속에서 드리는 찬양입니다.
③야다는 의지적인 결단입니다.
2.토 다 (todah)
①토다는 야다의 명사형입니다.
②그러나 토다는 본질적으로 주님을 고백하는 마음가짐에 촛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3.영적 전쟁과 찬양
①야다는 강력한 영적 무기입니다.
②하나님께 찬양을 올려 드릴 때 구원의 능력이 임합니다.
Ⅳ.찬양과 영적 전쟁 (2)
1.하나님 나라의 군대
①그리스도인들은 영적 전쟁의 상황 속에 있습니다.
②그리스도인들은 영적 군사가 되도록 부르심을 받고 있습니다.
③그리스도인들을 돕는 하나님의 군대가 있습니다.
④하나님이 그 군대의 총사령관이십니다.
2.예배와 영적 전쟁
①영적 전쟁의 승리는 하나님께 달려 있습니다.
②따라서 우리가 하나님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가 영적 전쟁의
승패를 결정합니다.
3.패배의 요인들
①영적 전쟁에서 패배케하는 요인들이 있습니다. 우선,죄를 들 수 있습니다.
②무지도 패배로 이끕니다.
③불신과 그에 따른 두려움, 염려, 자포 자기 등도 패배를 부릅니다.
4.영적 전쟁의 무기들
①능력의 근원은 하나님께 있습니다.
②하나님의 이름에 하나님의 권세가 있습니다.
③하나님의 말씀에 하나님의 능력이 있습니다.
④이러한 능력의 통로가 기도와 찬양입니다.
* 결국 모든 사건 해결의 핵심은 하나님의 임재에 달려 있습니다.
Ⅴ.찬양의 증거
1.축 복
①하나님은 생명체를 창조하신 후 복을 주셨습니다.
②모든 축복의 근원은 생명의 주인이신 하나님이십니다.
③따라서 하나님을 알지 못하고 그 말씀 안에 거하지 않는 자는 생명의
④근원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게 됩니다.
⑤하나님의 모든 축복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믿는 자에게 회복 되었습니다.
2.바 락 (barak)
①바락의 기본 의미는 "축복하다"입니다.
②축복하는 것은 하나님을 찬양하는 한 방법입니다.
③하나님께서 주신 복에 감사할 때 하나님을 송축합니다.
3.증거의 찬양
①바락은 하나님께서 베푸신 은혜에 대한 증언이기도 합니다.
②송축을 통해 하나님의 사랑과 능력, 그 나라의 부요함이 증거됩니다.
* 송축은 좋은 상황에서만 드리는 것이 아닙니다.
Ⅵ.찬양과 경축 (1)
1.찬양과 외침
①찬양은 소리와 깊은 관계가 있습니다.
②너무 기쁠 때 우리는 큰 소리를 내게 됩니다.
2.찬양과 음악
①노래나 악기 연주로 찬양하는 것은 아름답고 힘이 있습니다.
②노래나 악기로 찬양하면 큰 기쁨이 넘치게 됩니다.
③히브리어 "자마르"(zamar)는 그 자체로서 "노래나 악기로 찬양하다"라는
뜻입니다.
④자마르에 해당하는 신약의 단어는 "프살로"(psallo)입니다.
* 노래나 연주는 찬양할 수 없는 우리를 도와 찬양하게 합니다.
Ⅶ.찬양과 경축 (2)
1.성경에서의 춤
①춤은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입니다.
②춤을 뜻하는 구약어로는 동사 훌(chuwl)과 이 단어의 명사형인 마훌
(machowl), 및 메훌라(mechowlah)를 들 수 있습니다.
2.찬양과 춤
①찬양은 춤으로도 표현될 수 있습니다.
3.찬양과 기쁨
①춤은 기쁨을 몸 전체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 하나님 앞에서 버려야 할 것들이 있습니다.
1.경배의 의미
①경배는 예배의 핵심입니다.
②경배는 하나님 앞에서 자신을 낮추는 것입니다.
③경배는 하나님에 대한 신뢰와 순종입니다.
2.경배의 방법
①경배는 몸의 자세로 표현됩니다.
②경배의 관심은 자신을 낮추는 데에 있습니다.
③침묵도 경배의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3.경배의 이유
①하나님은 온 세상의 창조자이십니다.
②하나님은 우리의 구원자이십니다.
③하나님은 우주 만물의 통치자이십니다.
④하나님은 최후의 심판자이십니다.
⑤이 하나님이 우리의 아버지이십니다.
Ⅵ.기 쁨
1.기쁨과 하나님
①기쁨은 그리스도인의 삶에 매우 중요한 정서입니다.
②하나님은 기뻐하는 분이십니다.
③하나님 나라는 기쁨이 가득한 곳입니다.
2.기쁨의 근원
①기쁨은 우리의 조건과는 무관한 것입니다.
②기쁨은 하나님으로부터 주어집니다.
③그리스도와 연합해야 기쁨을 누릴 수 있습니다.
3.기쁨과 찬양
①찬양과 직결되는 것이 기쁨입니다.
②찬양의 이유가 바로 기쁨의 이유이기도 합니다.
③찬양은 기쁨을 솟아나게 합니다.
④찬양할 때 몸과 마음이 다 기뻐하는 것이 성경적입니다.
Ⅶ.섬 김
1.예배와 섬김
①그리스도인의 삶은 섬김의 삶입니다.
②예배는 섬김입니다.
③예배자는 하나님을 섬기는 사람들입니다.
2.예배와 삶
①삶은 예배의 연장입니다.
②그 제물은 우리 자신입니다.
3.삶의 예배의 세 양상
①예배와 찬양과 기도의 삶으로 주님을 섬겨야 합니다.
②지체를 사랑함으로써 주님을 섬겨야 합니다.
③하나님 나라 건설로 주님을 섬겨야 합니다.
④하나님 나라는 예배를 통해 확장되어 갑니다.
1) 예배의 우선된 목적은 내가 은혜를 받는 것보다 나를 하나님께 제물로 드리는 것임을 명심합니다.
2) 예배를 사모하는 마음으로 옷차림을 단정하게 준비합니다.
3) 예배 10분 전에 예배실에 도착합니다.
4) 예배실에 들어가기 전에 핸드폰 전원을 꺼둡니다. 진동모드도 예배 집중에 방해됩니다.
5) 예배자는 가능한 예배실 앞자리부터 차례로 네 명씩 앉습니다. 앞자리에 앉으면 예배에 집중하기 좋고 늦게 오는 성도들을 배려할 수 있습니다.
6) 헌금은 주일예배 전에 미리 준비합니다.(주중 다른 예배에 헌금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헌금함에 넣거나 온라인 헌금을 합니다.)
7) 매월 온전한 십일조 헌금을 드리고, 주일헌금, 감사헌금, 지정헌금 등은 자원하여 드립니다. 헌금시 헌금자를 표기하여야 연말에 재정부에서 개인이 드린 모든 헌금을 기록한 '헌금내역서'와 기부금확인서'를 발급할 수 있습니다.
8) 예배 중에 커피나 과자 등의 음식을 먹지 않으며, 자녀들도 먹지 않게 합니다.
9) 예배 중에 어린 자녀가 울거나 움직이면 다른 성도들의 예배에 방해되지 않도록 자녀를 영상자모실로 데리고 가서 예배를 드립니다.
10) 예배가 끝나면 자신이 앉은 자리를 살펴 사용한 주보나 쓰레기를 가지고 나옵니다.
1) 예배 전에 기도로 묵상하며 대표기도문을 작성합니다. 대표기도는 찬양, 감사, 회개, 간구(나라와 민족, 교회, 예배오 봉사자, 설교자, 성가대, 성도들) 순서로 작성합니다.
2) 단정한 복장을 하고 예배 10분 전에 예배실 기도자 좌석(강단 앞)에 앉습니다.
3) 예배를 위한 묵상기도가 시작되면 자리에서 일어나 강단 기도자 자리로 올라갑니다.
4) 대표기도를 시작할 때 "다함께 기도하시겠습니다"를 생략하고 기도를 시작합니다.
5) 대표기도는 3분 정도로 하고 기도 후에 회중석에 앉습니다.
1) 단정한 복장을 하고 예배 10분 전에 예배실에 들어갑니다.
2) 예배실 앞편의 헌금위원 자리에 앉습니다.
3) 합심기도를 할 때, 일어서 헌금주머니를 준비합니다.
4) 봉헌송이 시작되면 헌금주머니를 예배부 장로님이나 담당 목사님에게 드려서 강단에 올립니다.
1) 단정한 복장과 웃는 얼굴, 친절한 손과 기쁜 마음을 준비하여 예배 30분 전부터 준비합니다.
2) 1층 교회입구와 3층 예배실 입구에서 안내를 합니다.
3) 안내시간은 예배 전 30분부터 예배 후 10분까지 입니다.
4) 주차 안내위원은 교회 띠를 착용하고, 차량을 지하주차장과 지상주차장으로 안내합니다.
5) 예배 중 이동주차가 요청될 수 있는 차량의 차주는 차열쇠를 주차위원이나 교역자들에게 맡기고, 차 안에는 연락처를 남겨둡니다.
성도님들은 매월 봉사표에 나와 있는 예배 위원을 살펴보시고, 대표기도, 헌금위원, 안내위원 중 사정상 봉사할 수 없는 경우엔 미리 예배 부장님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립니다.